요즘 정부에서 실손보험에 대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 1세대 실손보험의 경우 강제로 해지하고 보상 하겠다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는데요, 세대별 실손보험의 차이는 무엇일까요? 그리고 여러분이 가입한 보험은 몇 세대일까요? 지금이라도 실손보험에 가입 시 참고해야 할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내가 가입한 실손보험이 궁금하다면 아래에서 확인하세요!
실손보험 가입을 고민중이라면
실손보험이란?
모두가 하나씩 가입하고 있는 실비보험은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때 실제 지출한 의료비를 보장해 주는 보험입니다. 즉, 입원이나 통원 치료 시 본인이 지출한 금액 한도 내에서 보험금이 지급됩니다. 다만, 보험료가 매년 갱신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.
세대별 실손보험 특징
- 1세대 실손보험 (2009년 9월 이전 판매)
- 보장 범위: 넓음
- 보험료: 높음
- 2세대 실손보험 (2009년 9월 ~ 2017년 3월 판매)
- 보장 범위: 일부 조정
- 보험료: 여전히 높음
- 3세대 실손보험 (2017년 3월 이후 판매)
- 별명: '착한 실손보험'
- 보험료: 저렴함
- 4세대 실손보험 (2021년 7월 이후 판매)
- 보장 범위: 제한적
- 보험료: 가장 저렴함
4세대 실손보험 가입기준
세대별 실손보험의 큰 차이점
1세대와 4세대 실손보험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자기부담금과 보험료입니다.
실손보험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점
- 병원 방문 횟수: 병원을 자주 방문한다면 보장이 넓은 1세대나 2세대 유지가 유리합니다. 드물게 방문한다면 4세대로 변경하여 보험료 절약이 가능합니다.
- 의료비 이용 패턴 분석: 병원을 자주 이용하지 않거나 급여 항목 비중이 적다면 4세대 실손보험이 적합합니다. 반대로 비급여 항목 사용 빈도가 높다면 1~3세대 보험 유지가 유리합니다.
- 보험료와 갱신 주기 확인: 갱신 주기가 짧은 상품은 갱신 시 보험료 인상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.
- 보험금 청구 이력 점검: 보험금 청구 빈도가 많으면 보험료 할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.
- 가입 시기와 보험사 정책 확인: 현재 신규 가입은 4세대 실손보험만 가능하며, 기존 세대 보험은 전환 가입만 가능합니다.
5세대 실손보험 개혁안
정부는 실손의료보험 개혁 차원에서 '보험계약 재매입'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 보험사가 1~2세대 실손보험 계약자에게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새로운 계약으로 갈아타게 하는 것입니다. 만약 계약 재매입으로도 옛 실손보험 고객의 갈아타기 효과가 미미할 경우, 법 개정을 통해 보장 축소 등 약관 내용을 변경할 예정입니다.
지금 바로 여러분의 실비보험을 점검하고, 최적의 보험을 선택하세요!
2024.12.18 - [분류 전체보기] - 셀프 명도 소송 가이드 책 소개!
2024.03.18 - [분류 전체보기] - 감기 영양제 수액 실비보험 청구 후 2시간만에 보상 받은 후기
2024.10.23 - [분류 전체보기] - 제자리암과 경계성 종양의 특징 및 보험금 청구 방법